전자투고시스템이 국제 색인 데이터베이스 신청에 필수 요건은 아니나 전세계에서 투고 받으면서 관리하기에 편리한 시스템이므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다양한 플랫폼이 나와 있고 국내 회사 또는 해외 회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국내에서 다양한 회사에서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JAMS도 있다. 어느 것을 사용하던지 학술지의 여건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와 해외 회사 제품은 기능에 큰 차이가 없으나 국내사는 편집인의 요구 사항을 매우 빠르게 반영하며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 국내에서 유무료로 서비스하는 시스템과 회사를 소개하고 또한 해외 시스템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소개한다. 해외 유료 시스템은 소개에서 제외시켰다.
투고관리시스템 국내 유무료 제공처와 국제 무료 제공처
구분 | 회사명 또는 시스템명 | 운영처 | URL |
---|---|---|---|
국내 무료 | JAMS 2.0 (Journal & Article Management System) | 한국연구재단(국문지) | https://portal.jams.or.kr/portal/info/jamsInfo.kci |
ACOMSNRF | 한국연구재단(영문지) | https://portal.jams.or.kr/portal/info/busiInfo.kci | |
국내 유료 | 거목문화사 온라인투고시스템 | 거목문화사 | https://www.guhmok.com |
DBpiaONE | 누리미디어 | http://www.nurimedia.co.kr/13 | |
M2-EMS | 엠투커뮤니티 | http://www.m2community.co.kr | |
eSS@i | 인포랑 | http://www.medrang.co.kr | |
KOREASCHOLAR 논문투고시스템 | 코리아스칼라 | http://koreascholar.com/img/sub2.html | |
해외 무료 | Open Journal System | Public Knowledge Foundation | https://pkp.sfu.ca/ojs/ |
DPubS | Cornell University Library, USA | http://dpubs.org | |
Digital Commons | Bepress | https://www.bepress.com/products/digital-commons/features/journal-publishing/ |
투고시스템에서 갖출 기능 점검 사항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이면 충분하다(cited from Sci Ed 2018;5:124-34).
투고시스템에서 저자를 위한 기능 점검표
투고시스템에서 심사자를 위한 기능 점검표
투고시스템에서 편집인을 위한 기능점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