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표에 해당 여부를 표기하고 총점을 내어서 학술지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점검하여 보자.
학술지 관심도 측정 도구
이 표에서 편집인은 대개 5점 이상에 해당한다.
다양한 국내외 편집인 모임에 참석하여 최신 정보를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아래와 같은 학회가 국내 편집인이나 원고편집인이 주로 참석하는 모임이다.
학술지 편집과 발행 관련 국내외 학회와 협회
Elsevier사 지영석 회장의 표현을 빌면 “학술지는 100% 편집인 역량에 달려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편집인이 학술지 편집과 발행에 대하여 이해하고 어떻게 방향을 정하느냐에 따라 학술지 발전을 좌우한다. 그러면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까? 그림 2가 보여 주듯이 브랜드를 키워야 하고 그러기 위하여 내용이 훌륭함과 더불어 접근성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학회의 경제적인 지원이 필수이다.
Diagram of the three aspects of scholarly journal publishing (quality, reputation, and accessibility) that are true today and are not going to change much in the near future (cited from: Huh S. How much progress has Blood Research made since the change of the journal title in 2013. Blood Res 2018;53:95-100. https://doi.org/10.5045/br.2018.53.2.95).